We want to hear from you!Take our 2021 Community Survey!

Concurrent 모드 도입하기 (실험 단계)

주의

이 페이지는 안정된 배포판에서 아직 제공되지 않는 실험적인 기능에 대해 설명합니다. 얼리 어답터와 궁금해하시는 분을 대상으로 합니다.

많은 정보는 구식이며 보관을 목적으로만 유지되고 있습니다. 최신화된 정보는 React 18 Alpha announcement post를 참조해주세요.

React 18이 배포되기 전에 해당 페이지를 안정된 문서로 대체할 예정입니다.

설치하기

Concurrent 모드는 React 실험 배포판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설치하려면 다음을 실행하세요.

npm install react@experimental react-dom@experimental

실험 배포판에는 시맨틱 버저닝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experimental 배포판에는 언제든지 API가 추가, 변경, 삭제될 수 있습니다.

실험 배포판에는 호환되지 않는 변경사항이 종종 발생합니다.

이런 배포판을 개인 프로젝트나 브랜치에서 사용하는 것은 상관없지만, 프로덕션 환경에서 실행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Facebook에서는 프로덕션 환경에서 사용하고 있긴 하지만, 문제가 발생했을 때 버그를 잡을 수 있도록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경고를 명심하세요!

실험 배포판은 누구를 위한 걸까요?

이 배포판은 얼리 어댑터, 라이브러리 제작자, 궁금해하는 사람들을 주요 대상으로 합니다.

저희는 프로덕션 환경에서 이 코드를 잘 사용 중이지만, 아직 버그가 남아있고, 기능이 부족하며, 문서도 빈약합니다. Concurrent 모드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 좀 더 귀 기울여서 추후에 있을 공식 배포를 더욱 잘 준비하고자 합니다.

Concurrent 모드 활성화하기

보통, React에 기능이 추가될 땐 즉시 사용 가능합니다. Fragments, Context, Hooks 등이 그러한 예죠. 기존 코드를 전혀 수정하지 않고도 새 코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ncurrent 모드는 다릅니다. React가 동작하는 방식에 시맨틱 한 차이가 생겼죠. 이런 차이 없이는, 신기능들은 가능하지 않았을 겁니다. 따라서, 개별적으로 독립 배포되지 않고 하나의 새로운 “모드”로 그룹화 되었습니다.

하위 트리 단위로 Concurrent 모드를 선택할 수는 없습니다. 대신에 ReactDOM.render()를 호출하는 부분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이 코드는 전체 <App /> 트리에 대해 Concurrent 모드를 활성화합니다.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

// 기존 코드가 다음과 같았다면,
//
// ReactDOM.render(<App />, document.getElementById('root'));
//
// 다음과 같이 작성하여 Concurrent 모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ReactDOM.unstable_createRoot(
  document.getElementById('root')
).render(<App />);

주의

createRoot와 같은 Concurrent 모드 API는 React의 실험 배포판에만 존재합니다.

Concurrent 모드에서는 “unsafe”라고 기존에 표시된 생명주기 메서드가 현재 React 버전에서보다도 더 많은 버그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앱이 Strict 모드와 호환되기 전까지 Concurrent 모드를 시도하는 걸 권장하지 않습니다.

무엇을 기대해야 할까요?

큰 규모의 앱이거나 많은 수의 서드 파티 패키지에 의존하고 있는 앱이라면 Concurrent 모드를 바로 사용할 수 있을 거라 섣불리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예로, Facebook에선 신규 웹사이트에 Concurrent 모드를 사용 중이지만, 기존 웹사이트에는 적용할 계획이 없습니다. 기존 웹사이트는 안전하지 않은 생명주기 메서드와, 호환되지 않는 서드 파티 라이브러리, 그리고 Concurrent 모드와 잘 동작하지 않는 패턴들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죠.

저희 경험에 의하면, 자주 사용되는 React 패턴들을 사용하면서 외부 상태 관리 솔루션에 기대지 않는 코드가 가장 쉽게 Concurrent 모드로 실행됩니다. 수 주 이내로 흔히 발생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별도로 설명할 계획입니다.

마이그레이션 단계: Blocking 모드

오래된 코드베이스의 경우, Concurrent 모드는 너무 앞서나간 것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React 실험 배포판에선 새로운 “Blocking 모드”를 제공하고 있죠. createRootcreateBlockingRoot로 바꿔주는 것으로 실행해 볼 수 있습니다. 비록 Concurrent 모드의 기능 중 작은 일부만을 제공하지만, 현재 React 동작 구조에 가깝기 때문에 마이그레이션 단계로서 역할을 다 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 Legacy 모드 ReactDOM.render(<App />, rootNode). 현재 React 앱들이 사용하고 있는 모드입니다. 아직 가까운 미래에 Legacy 모드를 없앨 계획은 없지만, 신규 기능들을 사용할 수는 없을 겁니다.
  • Blocking 모드 ReactDOM.createBlockingRoot(rootNode).render(<App />). 현재 실험 중인 상태입니다. Concurrent 모드의 일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첫 번째 마이그레이션 단계입니다.
  • Concurrent 모드 ReactDOM.createRoot(rootNode).render(<App />). 현재 실험 중인 상태입니다. 안정된 후엔 React 기본 모드로 만들 예정입니다. 이 모드에선 모든 신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왜 여러 모드가 필요할까요?

저희는 호환되지 않는 큰 변화를 가져오거나 React가 침체하도록 나두는 것보다 점진적인 마이그레이션 전략을 제공하는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Legacy 모드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앱이 Concurrent 모드까지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Blocking 모드로는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단기적으로 이러한 파편화는 모든 모드를 지원하고자 하는 라이브러리엔 귀찮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점진적으로 Legacy 모드에서 벗어나는 것이 레이아웃을 읽을 때의 혼란스러운 Suspense 동작일관된 배칭 보장의 부족과 같이, 현재 React 생태계의 주요 라이브러리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해 줄 수 있습니다. 시맨틱 변화 없이 Legacy 모드에서 수정될 수 없는 버그이지만 Blocking이나 Concurrent 모드에선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여럿 있습니다.

Blocking 모드를 Concurrent 모드의 “우아한 성능 저하” 버전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모두 수렴되어서 여러 모드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없어질 겁니다. 하지만 지금의 여러 모드는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중요한 전략입니다. 사람들이 스스로 마이그레이션 할 가치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고, 각자의 상황에 맞춰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기능 비교

Legacy 모드 Blocking 모드 Concurrent 모드
문자열 Refs 🚫** 🚫**
레거시 Context 🚫** 🚫**
findDOMNode 🚫** 🚫**
Suspense
SuspenseList 🚫
Suspense SSR + Hydration 🚫
Progressive Hydration 🚫
Selective Hydration 🚫 🚫
Cooperative 멀티태스킹 🚫 🚫
다수의 setState의 자동 배칭     🚫*
우선순위 기반 렌더링 🚫 🚫
중단 가능한 Pre-렌더링 🚫 🚫
useTransition 🚫 🚫
useDeferredValue 🚫 🚫
Suspense Reveal “Train” 🚫 🚫

*: Legacy 모드도 React가 관리하는 이벤트의 자동 배칭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하나의 브라우저 태스크에 국한됩니다. 비 React 이벤트는 unstable_batchedUpdates를 사용해야만 합니다. Blocking 모드와 Concurrent 모드에서는 모든 setState가 디폴트로 배치됩니다.

**: 개발 환경에서 경고가 표시됩니다.

Is this page useful?Edit this page